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2023년 아기 독감 주사 종류 유행 시기 예방접종

by 로미유니 2023. 11. 7.
반응형

 

 

아기 독감 유행 시기

환절기에 대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질환 중의 하나가 바로 독감이다

감기가 좀 더 독하게 온 것이 독한 감기가 아닌가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감기와 독감은 원인균부터 차이가 있어서

감기와 독감은 다른 질환

사계절 내내 걸릴 수도 있는 질병이지만,

독감 유행하는 시기는 10월 중순부터 1월 말까지 

빠르면 9월 늦으면 2월까지

특히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은 독감 자체만으로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어

 접종 후 2주에서 1달이 지나야 접종 효과

예방 기능이 유지되는 기간은 약 6개월 정도

10월 안에 늦어도 11월 초까지는 유아독감예방접종을 완료

 

 

아기 독감 접종 시기, 독감 예방접종 무료대상

 

접종을 하는 이유는!

아직 코로나가 사라지지 않는 시점에 독감에 걸리더라도

가볍게 걸리고 합병증 발생을 줄일 수가 있기 때문. 

생후 6개월부터 13세까지,

임신부

 65세 이상의 어르신

 독감 접종 무료로 접종 가능

아기 독감 접종은 생후 6개월부터 시작하고,

태어나서 처음 접종하는 경우는 4주 이상의 간격으로 2번을 접종,

 

처음 접종하는 아기들의 경우는 23년 9월 20일부터 접종 시작

처음이 아닌 올해 첫 접종은 23년 10월 5일부터 접종 시작

 

 

아기 독감 접종 후 주의사항이나 위험성

독감백신 접종 후 증상으로 근육통, 관절통 그리고 발열

영유아의 경우에는 아기독감예방접종을 맞고 난 당일과 다음날까지

발열이 있을 수가 있어서 컨디션을 잘 관찰해야 함

이러한 신체반응이 나타나는 이유는 바로 체내 면역 반응 때문인데,

주사를 맞게 되면 우리 몸에서는 곧바로 항체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발열이나 근육통과 뻐근함, 관절통, 두통, 몸살등이 동반이 되어 나타날 수가 있다

아무 증상 없이 넘어가기도 하는데

그렇다고 예방접종 맞은 게 효과가 없는 게 아니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아기가 열이 오른다면 해열 진통제를 용량에 맞게 복용하고 열을 낮춰주면 된다.

지나치게 심하게 열이 오르거나 호흡곤란 및 혼수상태, 경련 등의

응급한 상황을 보일 때에는 지체 없이 응급실이나 병원을 찾아 조치를 취해주어야 한다.

 

 

아기 독감 증상 및 치료

아기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질환으로 전파력이 상당히 강력한 유행성 질환

감기의 경우에는 코와 목 등 상부호흡기관에 다양한 종류의 원인균이 침투해 감염을 일으키고

기침과 콧물, 열, 두통 인후통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데,

개인 면역력이 높아지면 서서히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해결이 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독감은 따로 치료를 받지 않으면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가 있기 때문에

예방접종을 철저하게 하고 감염되면 병원에 방문을 해야 한다. 

독감의 증상은 감기와 비슷하게

두통, 오한, 발열, 기침, 콧물, 근육통, 구토, 설사, 인후통등이 발현되는 공통점이 있으나

약을 먹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치료가 되는 감기와는 다르게

자체 면역력으로는 치료되지 않고 증상이 계속된다.

 독감치료제인 타미플루를 5일간 복용 또는 주사치료 하여야 한다.

 

 

아기독감백신종류 계란알레르기

아기 독감 백신으로 무료접종 대신 유료로 측정하는 것이 좀 더 좋지 않은지,

약이 좀 다르다고 생각할 수 도 있는데,

국가에서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인 무료인거지 약이 차이는 없다고 한다.

국산, 수입산 모두 같은 4가 백신이고 효능은 같으니 아무거나 맞아도 된다. 

독감예방접종 전에 문진상 계란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독감 접종을 주의하라는 지침이 있었는데 

이제는 지침이 바뀌어 계란 알레르기가 있어도 독감 접종을 할 수 있다. 

중증 계란 알레르기로 응급실을 간 적이 있어도 접종이 가능,

다만 이런 경우에는 소아과 의사에게 미리 알레르기가 심하다고 사실을 알리기만 하면 되고

미리 알고 있음 응급조치를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알려주기만 하면 된다.

 

 

 

반응형